개인공부/선형대수학

벡터공간의 기저와 차원

수학가형 2021. 12. 25. 01:22

이번 포스트에서는 선형독립을 정확하게 정의한 후 기저를 배우고 그를 통해 벡터공간의 차원을 명확하게 구한다.

 

1. 선형독립

"벡터들이 선형독립이다" 라는 문장에서 선형독립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선형독립의 정의 1: 임의의 행렬 - 벡터 곱으로 표현된 방정식 Av = 0의 해가 v = 0으로 유일할 때, A의 열벡터들이 선형독립(linearly independent)이라고 한다.

즉 행렬 A의 열들 q_1, q_2...q_n 의 어떠한 0이 아닌 선형결합도 영벡터를 만들 수 없다면 열벡터 q_k들은 선형독립이다. 이를 다르게 표현한다면, N(A) = Z 이다. 행렬의 영공간에는 오직 영벡터만이 존재한다. 또한 이는 선형독립의 또 다른 정의이다.

 

선형독립의 정의 2: 임의의 벡터들 u_1, u_2...u_n 으로 영벡터를 만드는 유일한 선형결합이 0u_1 + 0u_2 + ... + 0u_n 이면 벡터 u_k 들은 선형독립이다.

반대로 임의의 벡터들의 영이 아닌 선형결합으로 영벡터를 만들 수 있다면 이 벡터들은 선형종속이다. 따라서 임의의 벡터들로 이루어진 집합 S = {s_1, s_2...s_n}의 원소들 중 영벡터가 하나라도 존재한다면 해당 집합의 벡터들은 무조건 선형종속이다. 영벡터가 아닌 벡터들에 0을 곱하고 영벡터에 0이 아닌 스칼라를 곱한 후 선형결합을 해주어도 결과는 영벡터이기 때문이다.

이제 행렬 내부에서 열들이 선형독립일 조건을 알아본다. 예시를 가지고 시작한다. R^2 상의 임의의 세 벡터는 선형독립이 될 수 없다. 어떠한 벡터들을 선택하더라도 그 중 두 벡터의 0이 아닌 선형결합이 나머지 벡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직관을 사용하지 않고 설명하려면 행렬을 사용하면 된다.

다음은 이를 일반화하여 얻을 수 있는 참인 명제들이다.

1. n > m을 만족하는 두 자연수 m, n에 대해 R^m 상의 임의의 n개의 벡터는 선형종속이다.

위의 예시와 유사한 방법으로 주어진 명제를 행렬 - 벡터 곱으로 표현 가능한데, 이때 행렬의 행 개수보다 선택된 벡터의 수가 더 많으면 자유 열은 반드시 존재하고 이는 열들이 선형종속임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행렬로 확장하면, m X n 행렬 A에 대해 n > m 이면(즉 가로로 긴 모양이면) 방정식 Av = 0이 v = 0 이 아닌 해를 가짐이 확실하므로 A의 열들이 선형종속임을 알 수 있다.

2. 임의의 m X n행렬 A의 계수가 n일때 A의 열들은 선형독립이며 n개의 피봇이 존재한다. 또한 N(A) = Z 이다.

마찬가지로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하기 위해 행렬 - 벡터 곱으로 표현하면 주어진 행렬의 모든 열이 피봇 열이고(rank(A) = n), 이로부터 열벡터들의 선형결합으로 영벡터를 만드는 방법은 모든 스칼라가 0일 때로 유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사각행렬의 모든 열들이 독립이면, 이는 가역행렬이다.

 

 

 

 

2. 벡터공간의 기저

포스트"벡터공간과 부분공간 그리고 행렬의 열공간" 에서 열공간 C(A)를 표현하는 방법을 공부했는데, 임의의 행렬 A = [q_1 q_2 q_3...q_n]이 주어졌을 때, 열공간 C(A) = {열벡터들의 선형결합으로 표현되는 모든 벡터들 : cq_1 + dq_2 + eq_3 +...+fq_n , c, d, e..f는 임의의 스칼라} 이다.

이때 열공간 표현시 굳이 모든 벡터들을 사용해야 힐 필요는 없는데,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

조건에 따라 굳이 모든 열벡터들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열공간 표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 3열을 선형결합에 표현하지 않은 이유는 1열과 2열의 0이 아닌 선형결합으로 3열을 표현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가능하기 때문이다.(주어진 벡터들 중 어떠한 2개를 선택하더라도 나머지 벡터를 0이 아닌 선형결합으로 표현가능) 이는 집합 S = {1열 열벡터, 2열 열벡터, 3열 열벡터}의 원소들이 선형종속임을 알려주고, 집합 S' = {1열 열벡터, 2열 열벡터}의 원소들은 선형독립임을 보여준다.

집합 S와 S'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각 집합에 속한 원소들의 선형결합은 동일한 부분공간 C(A)를 생성하는데, 여기서 집합 S의 원소들은 공간 C(A)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벡터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벡터들의 집합 S를 공간 C(A)의 기저(basis) 라고 한다.

벡터공간의 기저_정의: 선형독립인 벡터들이 공간을 생성(span)할 때 이 벡터들의 집합을 생성된 공간(spanning set)의 기저(basis) 라고 한다.

주의: 기저는 벡터가 아닌 "집합"이고 기저를 구성하는 원소들을 "기저벡터"라고 한다.

또한 정의로부터 다음 정리들이 도출된다.

정의로부터 도출되는 정리 1: 생성된 공간 내부의 임의의 벡터 u를 기저에 속한 벡터들의 선형결합으로 쓰는 방법은 유일하다.

정의로부터 도출되는 정리 2: 어떠한 부분공간의 기저벡터의 원소는 해당 공간(spanning set)을 생성 가능한 최소한의 벡터들이다.

정의로부터 도출되는 정리 3: 모든 n차 가역행렬의 열들의 집합은 R^n의 기저이다.

정의로부터 도출되는 정리 4: 행렬 A의 피봇 열들은 C(A)의 기저이다. 단 RREF 형태의 소거된 행렬의 피봇 열들은 일반적으로 C(A)의 기저가 아니다.

다만 A를 소거하여 얻은 RREF 형태의 행렬 R의 행공간과 A의 행공간은 같다. 소거법 자체가 행들의 선형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간이 유지된다.

정의로부터 도출되는 정리 5: 행렬 A의 영공간 N(A)의 기저는 방정식 Av = 0의 special solution 이다.

이전 포스트 "행렬의 영공간" 중 "논의" 부분을 읽었다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언급한 방정식의 special solution 이란 자유 열들을 하나씩만 고려해 준 해로서 이 해들만으로 모든 영공간 해를 생성 가능하다. 따라서 이는 영공간의 기저이다.

 

 

 

 

 

3. 벡터공간의 차원

이제 벡터공간의 차원을 정확하게 정의할수 있다. 차원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벡터공간의 차원: 어떤 혹은 임의의 기저에 포함된 벡터의 수를 그 기저로부터 생성되는 벡터공간의 차원(demension)이라 한다.

벡터공간의 차원이 위와 같이 정의되려면, 동일한 공간에 대해서 항상 같은 차원을 가짐을 증명해야 한다. 증염은 다음과 같다:

또한 임의의 벡터공간 A의 차원을 기호로 dim(A) 로 표현하기도 한다.

 

 

 

 

 

 

4. 행렬공간과 함수공간

여기까지 선형독립과 기저, 벡터공간의 차원에 대해서 공부했다, 이제 이 개념들을 더욱 일반적으로 확장할수 있다. 수학에서 벡터는 행렬의 열벡터뿐 아니라 행벡터, 더 나아가 행렬 그 자체 혹은 함수또한 될 수 있다. 따라서 부분공간 혹은 벡터공간 또한 행렬의 열벡터에서부터 얻는 것 뿐 아니라 행렬로 이루어진 행렬공간, 함수로 이루어진 함수공간으로 볼 수도 있다.

공간을 이루는 성분들이 열벡터이던 함수이던 선형독립과 기저 등의 본질적인 개념은 변하지 않는다. 이 파트는 새로운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닌 벡터를 더욱 일반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몇 가지 예제만 풀어보고 넘어간다.

예제_행렬공간: 3X3 대칭행렬로 이루어진 공간에 대한 기저와 차원을 구해라.

예제_함수공간: 2차 선형 미분방정식 Ad^2 y / dt^2 + Bdy / dt + Cy = 0의 해로 이루어진 공간의 기저와 차원을 구하라.


연습 문제

(5.4절 연습문제 30번)코사인 공간 F는 모든 선형결합 y(x) = Acos(x) + Bcos (2x) + Ccos(3x)를 원소로 가진다. 공간 F의 원소들 중 y(0) = 0을 만족하는 부분공간 S의 기저를 찾고 S의 차원을 구하라.

 

(5.4절 연습문제 33번)벡터 (a, b, c, d)중 a + c + d = 0을 만족하는 벡터들의 공간을 S, a + b = 0이고 c = 2d 를 만족하는 벡터들의 공간을 T라 하자. S와 T에 대한 기저를 찾고 S와 T의 교집합의 차원을 구하라.

(5.4절 연습문제 38번)임의의 두 부분공간 V, W에 대해 dim(V) + dim(W) = dim(V intersection W) + dim(V + W) 가 성립함을 증명하라. (intersection은 교집합을 의미한다.)

(5.4절 연습문제 39번)R^n의 두 부분공간 V, W에 대해 dim(V) + dim(W) > n을 만족할 때 V와 W 모두에 속하는 영벡터가 아닌 벡터가 존재함을 보여라.

'개인공부 > 선형대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대수의 기본정리 (2)  (0) 2021.12.25
선형대수의 기본정리(1)  (0) 2021.12.25
Av=b의 완전해 구하기  (0) 2021.12.25
행렬의 영공간  (0) 2021.12.25
벡터공간,부분공간, 행렬의 열공간  (0) 2021.12.25